전체검색
상세검색

6 3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55개
  • 5/6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 소백산 단양방면 ]01. 백두대간과 소백산02. 소백산 등산로03. 소백산 주변의 동굴들04. 소백산 주변의 문화유산05. 단양의 산수와 풍류 그리고 인물[ 소백산 영주방면 ]06. 죽령 옛길07. 연화봉 아래 피어난 절 희방사08. 소백산 동쪽의 작은 절 탐사09. 죽계구곡 이야기10. 비로서에서 비로봉을 거쳐 국망봉에 이르는 길11. 고치령을 넘어간 사람들 이야기12. 소백산 국립공원 동쪽 끝 봉황산 부석사

    2011-04-28 00:00:00
  • 발 간 사제1편 옥천?청산지역의 사회경제상 1- 제1장 연혁 3- 제2장 지리 4 1. 산악 4 2. 하천 4- 제3장 관할구역 5 1. 관찰도 5 2. 군?면?동리 5 3. 경찰서 5 4. 이사청 6 5. 재무서 7 6. 우편관서 7 7. 재판소 및 감옥 8 8. 수비대 9 9. 헌병분견소 10 10. 도?군직원 11- 제4장 민적 12 1. 호구수 12 2. 직업별 가구수 및 인구수 12 3. 관신유생 13 4. 일본인 14- 제5장 교통 15 1. 도로 15 2. 교량 16 3. 선수 16 4. 운수 및 운임 17 5. 도진 …

    2009-06-18 00:00:00
  • * 충북학 연구총서 : 6* 저자 : 정삼철(본원산업경제/문화관광실장), 전호수(충북대 강사)발간사제1장 조선시대 공물 진상제도와 토산물의 분류제2장 조선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3장 조선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4장 조산후기 충청북도 토산명품부록 : 토산물, 특산물의 품목별 해설

    2009-03-18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테미기행 시리즈 8집으로 - 중원문화의 꽃 - “충북의 국보와 보물을 찾아서”를 발간하였습니다.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청북도는 내륙을 관통하는 남한강과 금강 그리고 태백산에서부터 이어지는 백두대간 민족생태공원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지질학적으로는 석회암지대가 널리 발달한 관계로 동굴과 바위그늘을 중심으로 구석기시대의 생활유적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제천 점말동굴, 청원 두루봉동굴, 단양 금굴 등 동굴유적과 제천 명오리, 창내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청원 샘골 유적 등 한데유적이 대…

    2009-03-16 00:00:00
  • ◈ <1909년 한일합방 직전, 충북 음성군의 사회경제 생활실상 파악 가능> - 본 책자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 시기인 1909년에 충청북도관찰도(忠淸北道觀察道)에서 발간한 '韓國忠淸北道一班'(隆熙 3年)이라는 자료를 번역 발간한 것이다. - �34;한국충청북도일반�34;이라는 원전자료는 원래 전편 도황(道況)과 후편 군황(郡況)으로 구성된 약 716쪽(목차포함)에 달하는 구한말 충북지역의 생활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방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귀중한 향토자료이다. -금번에 발간된 '1…

    2009-03-16 00:00:00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1~2)◈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의 역사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꾸준히 ‘충북학연구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는 충북의 선사문화를 다루고 있다. 특히, 중원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발간된 충북의 선사문화는 충북지역 역사의 시원을 밝히고 중원문화권의 한 특징을 학술적으로 명백히 규명하고 있어 발간 의의가 더 크다. 또한 충북지역에서 발달된 선사문화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과…

    2009-03-16 00:00:00
  • 1. 온달장군의 한이 서린 땅 영춘이야기 72. 박달과 금봉의 사랑, 발달고개 193. 가난을 극복한 참된 슬기, 조륵, 374. 청주를 지키는 철당간 515. 내기에 진 아홉 딸이 죽어버린 구녀성6. 살아서는 진천, 죽어서는 용인 81

    2009-03-16 00:00:00
  • ◈『충북 100년 연표』는 충청북도가 시작된 1896년 8월 4일 부터 민선3기 도지사가 취임한 2002년 7월 1일까지 충북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주요 사항을 실어 충청북도의 변화 모습을 종합적으로살펴 볼 수 있게 하였다.

    2009-03-16 00:00:00
  • ◈ 이번에 ‘충북학 자료총서’ 제3집으로 발간된 자료집은 충북 영동 출신인 애국지사 이건석 (1852-1906)의 국권수호를 위해 주로 활동한 시기인 1895년에서 1905년까지 10여 년의 활동내역을 담고 있다. 이 자료집에는 각종 상소문의 초고와 소청의 운영과 관련된 자료, 소청에 참여한 인물들의 명단과 생년, 아호, 거주지, 등이 자세하게 수록된 到記, 제문, 만장, 간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자료집의 출간을 계기로 19세기말 20세기초 국가적 위난의 시기에 국권수호를 위해 활동한 분들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가 될 것이다.

    2009-03-16 00:00:00
  • ◈ 본원 부설 충북학에서는 2000년부터 매년 1편씩 충북학연구총서 시리즈를 통해 충북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전문연구서를 발간하고 있다. 제1권 ‘충북의 석조미술’, 제2권 ‘충북의 민속문화’에 이어 제3권 ‘충북의 고대사회’를 기획 발간하였다. 충북지역의 고대사 연구는 지방사의 입장에서 충북 고대의 역사와 문화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1장‘충북의 자연과 지역별 역사’, 2장 ‘전쟁’, 3장 ‘도시-중원경, 서원경’, 4장 ‘교통로와 산성’, 5장 ‘생산자와 수취’, 6장 ‘불교문화’로 구성 수록되어 있다.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