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방향 | 이행과제 |
---|---|
영·충·호 시대 주도를위한 경제발전 전략연구 |
|
영·충·호 시대 공간계획 정 비 |
|
창조시대를 여는 문화관광·복지·재정 연구 |
|
수시대응형 즉시연구체계 구축 |
|
영·충·호 시대 경제발전 전략 모색
- 영·충·호 시대 주도를 위한 경제발전 과제
- 국가 R&D 사업예산의 충북유치 전략 연구
- 과학벨트 투자펀드 관련 국내외 사례 연구
지역산업구조 고도화와 FTA대응 수출경쟁력 제고
- 충북산업의 해외진출 현황 및 대응전략
- 한·중 FTA 타결이 충북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모색
맞춤형 일자리 창출과 서민생활 경제기반 강화
- 충북지역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방안
- 충북 소상공인 실태 및 신활력 창출 방안
- 협동조합 정책수요 및 지속가능성 확보방안
지역경제촉진을 위한 미래 신산업 발굴·육성
- 충북 신특화산업의 성과분석
- 수도권 규제와 지역경제 발전(수도권 이전기업 분석)
- 기업도시 재투자펀드 활용 방안
통합청주시 도시관리 및 도시재생 전략 구축
- 통합청주시 출범에 따른 도시재생 차원의 소도읍 정비방안
- 도시재생법 제정에 따른 충북의 대응방안
- 충북지역 맞춤형 단독주택지 재생 기법 마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 충북 도심 혼잡구간 관리체계 구축 방안
- 청주권 철도이용환경 개선방안
- 고령자를 고려한 농촌마을 만들기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공간정책 개발
- 수도권 지방이전의 공간적 패턴과 특성
- 충북지역 토지이용의 지속가능성 연구
- 충청북도 댐 주변 지역 지원제도 개선방안
-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대응방안
충북 환경자원을 활용한 지역산업 활성화
- 충청북도 기상산업 선진도 구현방안
- 충청북도 생물자원 산업화 방안
당당한 충북의 지역 정체성 구현
- 충북 프리미엄 이미지구축방안 연구
- 청주지역 전근대 역사 특성과 문화정체성 연구
- 청주지역 근현대 역사 특성과 문화정체성 연구
창의사회 구현을 위한 문화복지 실현
- 여성청소년 친화형 디지털콘텐츠 선용정책 연구
- 사회복지 생활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 방안
- 사회복지 이용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 방안
창조적인 관광자원화 전략 연구
- 충북도내 종교유적지를 연계한 관광자원화 전략
- 뉴 시니어 관광소비계층 유입 전략
세외수입 등 지방재정 확충방안
- 세외수입 확충방안 연구
- 지방재정 협의기구의 개편에 관한 연구
도정정책 방향제시를 위한 정책연구과제 수행
- 충북도 및 시·군에서 무상으로 연구 의뢰하는 연구 과제로 연구제목과 내용은 의뢰부서에서 결정
- 의뢰시 수행 (2012 ~ 2013 기준 평균 55건 수행)
장기발전전략 수립 등을 위한 수탁연구과제 수행
- 충북도 및 시·군 등 발주처와 계약을 체결하여 수행하는 연구과제로 연구범위와 결과물의 내용이 구체적임
- 계약시 수행 (2012 ~ 2013 기준 평균 45건 수행)
연구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획사업 추진
- 세미나, 워크숍 등 기획사업을 통해 주요 현안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의 장 형성
- 도내·외 연구네트워크 활성화 기여
- 필요시 수시 추진
특별연구조직 운영으로 순발력 있는 도정운영 지원
- 미래기획센터, 공공투자분석센터, 지역발전연구센터, 평생교육진흥원, 충북학연구소,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충북학연구소 운영
- 도비(일부 국비 지원)에 의해 운영
2014 전망과 과제에 따른 공동연구 추진
- 1. 신수도권시대 충북
- 산업일반
- 산업입지
- 신성장동력산업 : 성장거점, 과학기술 등
- 2. 발전하는 충북
- 인구동향/전망
- 주거/정주/생활
- 영충호시대 공간계획 정비
- 3. 함께하는 충북
- 복지
- 균형발전
- 서민경제
- 농업
- 생활안전
- 교육
- 정체성 관련
- 4. 지방행·재정
- 지방행재정 관련
- 경찰자치
- 통합청주시 행정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