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대한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30개
  • 2/3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충북지역 6·25전쟁의 특징과 성격 / 8-양영조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에 따른 충북 지역 변화 / 28-김양식 | 충북연구원 충북학연구소 대담_6·25전쟁 70년, 충북의 기억과 의미 / 46 1970년대 새마을운동 관련 연구에 대한 논쟁과 2010년 이후 새마을운동의 학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74-이정락 |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1920년대 충북지역 새마을운동 자료 검토 / 98-김양식 | 충북연구원 충북학연구소 대담_새마을운동 50년, 충북의 기억 / 123 …

    2021-06-28 09:50:05
  • 1장 김정 |충암(?菴) 김정(金淨)의 삶과 그 자취에 대한 고찰|박용만 1. 머리말 13 2. 가계와 생애 15 3. 학문과 사상적 지향 21 4. 혁신의 치적과 기묘사화(己卯士禍) 30 5. 한시에 나타난 충북의 유적과 자취 39 6. 맺음말 462장 권섭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선비적 삶과 문학취향|이창식 1. 권섭, 왜 매력적인가 57 2. 권섭 삶의 주요 국면과 선비 시인상 60 3. 권섭 작품의 주요 세계와 풍류 취향 68 4. 권섭의 문학사적 위상과 계승 84 5. 권섭문학, 왜 제천문학의 전통인가 913장 최양업…

    2015-01-19 16:55:12
  • ◈ 충북인물선양사업이 계기가 되어, 지난해에 이어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와 충청북도가 공동으로 작업한 “2008 충북의 역사문화인물”이 발간되었다. 이번에 발간된 “2008 충북의 역사문화인물”에는 독립운동가 정순만, 유학자 박문호와 정호, 음악가 박연, 효자 김덕숭, 정치가이며 사상가인 정도전 등 6명이 선정, 이들 선정된 인물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발간사업을 통해 지역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조명사업이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 충북인의 애향심과 고양심 고취를 통해 “문화선진도”로서의 기틀을 다지는 지역인물의 소개서로 …

    2009-03-16 00:00:00
  • 제1장 예관·觀 신규식申圭植 | 신범수1. 예관 신규식, 그는 어떤 사림인가? 162. 애국청년 신규식 233. 무관 신규식에서 세상을 흘겨보는 불령선인(不逞鮮人) 신정(申精)으로 244. 신규식은 왜 상해로 갔을까? 325. 한국인 최초로 신해혁명에 참가하다 356. 동제사(同濟社),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를 결성하다 387. 제1차 세계대전과 대동단결선언 42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출범 489. 피와 눈물로 엮은 민족운동의 지침서 『한국혼(韓國魂)』61제2장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 | 신범수1. 서자의 멸시와 차별 속에서 방황한…

    2009-07-02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테미기행 시리즈 8집으로 - 중원문화의 꽃 - “충북의 국보와 보물을 찾아서”를 발간하였습니다.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청북도는 내륙을 관통하는 남한강과 금강 그리고 태백산에서부터 이어지는 백두대간 민족생태공원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지질학적으로는 석회암지대가 널리 발달한 관계로 동굴과 바위그늘을 중심으로 구석기시대의 생활유적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제천 점말동굴, 청원 두루봉동굴, 단양 금굴 등 동굴유적과 제천 명오리, 창내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청원 샘골 유적 등 한데유적이 대…

    2009-03-16 00:00:00
  • ◈ <1909년 한일합방 직전, 충북 음성군의 사회경제 생활실상 파악 가능> - 본 책자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 시기인 1909년에 충청북도관찰도(忠淸北道觀察道)에서 발간한 '韓國忠淸北道一班'(隆熙 3年)이라는 자료를 번역 발간한 것이다. - "한국충청북도일반"이라는 원전자료는 원래 전편 도황(道況)과 후편 군황(郡況)으로 구성된 약 716쪽(목차포함)에 달하는 구한말 충북지역의 생활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방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귀중한 향토자료이다. -금번에 발간된 '1…

    2009-03-16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2003년 테마기행서 『산비이속 국립공원 속리산』을 발간한 이후 4년먼에 비로소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안내 및 기행서를 펴내게 되었다. 이번 신라천년의 마지막 꿈『국립공원 월악산』에서는 송계지구 1/2, 덕산지구, 단양지구로 나누어 월악산에 숨겨진 문화유산과 역사,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사진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우리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를 동시에 수록하고 있다.

    2009-03-16 00:00:00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1~2)◈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의 역사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꾸준히 ‘충북학연구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는 충북의 선사문화를 다루고 있다. 특히, 중원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발간된 충북의 선사문화는 충북지역 역사의 시원을 밝히고 중원문화권의 한 특징을 학술적으로 명백히 규명하고 있어 발간 의의가 더 크다. 또한 충북지역에서 발달된 선사문화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과…

    2009-03-16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학교양총서 제3집으로 충북이 낳은 대표적인 근대 문학가이자, 충북의 정서와 언어를 서정적으로 풀어내 지역이미지를 고양시킨, “정지용” 시인의 평전을 펴냈다. `현대시의 아버지 정지용 평전'이라고 이름 붙여진 이 책은 괴산 출신 문학평론가 이석우씨가 집필했다. 총 3부 274쪽 분량으로 구성된 이 책은 정지용의 생애와 시세계, 문학사에 끼친 사상적 의미 등을 되짚어 보는데 주력했으며 특히 그에 관해 잘못된 자료들을 바로잡고 정당한 평가를 위해 그의 활동상을 중점적으로 조명하였다. 정지용이 탄생한지 100년을 …

    2009-03-16 00:00:00
  • ◈ 본 자료집에 수록한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대한민국사"에서 충북 관련 자료를 뽑아 정리하였으며, 한국전쟁기충북관련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다.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