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계획에 의하여 수행, 지역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과제입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6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02 2001 2000 1999 1998 1995 게시물 목록 충북지역 기업 경쟁력의 강화와 정책 개선방안 관련키워드 충북지역기업경쟁력강화정책개선방안 연구진 : 김진덕,전인우 발행일 : 2004. 12 조회수 : 6,357 목차 ◈ 충북지역 기업의 경영성과와 그 결정요인 분석 ◈ 기업체의 당면 애로요인과 지원정책에 대한 문제점 분석 ◈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각종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 기대효과 : 각종 정책이 어려움에 처해 있는 기업체에 실질 도움 * 자세한 연구요약과 목차는 업데이트 예정 다운로드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 및 충북경제 파급효과 분석 관련키워드 외국인직접투자결정요인">class="sch_word">결정요인충북경제파급효과분석 연구진 : 조택희,전일명 발행일 : 2006. 12 조회수 : 8,314 목차 본 연구는 세계화와 지방화의 물결 속에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관심사가 된 외국인직접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외국인직접투자의 결정요인과 외국인직접투자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외국인직접투자는 외국자본을 안정적으로 도입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는 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해외 첨단기술과 선진경영기법을 습득함으로써 지역 산업고도화를 이루는데 기여하고 토착기업들의 경쟁유발을 통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지방정부의 세수증대, 고용창출에 의한 지역경제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국인 투자현황을 보면 전국적으로 1970년대 14억불에서 2000년대 713억불로 51배 증가하였지만 수도권에 집중 되었으며 충북의 경우 2000년대 외국인 투자금액은 전국대비 2.8%로 투자건수 1.2%에 비하여 다소 높아 소수의 대규모 외국인 투자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충북의 외국인투자금액이 전국대비 2.8%로 충북 지역총생산(GRDP) 비중 3.2% 보다 낮아 지역 경제규모에 비하여 외국인 투자유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외국인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FMOLS분석 결과 임금, 수출, 광고집약도, R&D집약도는 99%, 실질GDP는 95% 신뢰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유의성이 매우 높고, 추정된 공적분 벡터의 부호 역시 이론적 관계와 일치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시장규모와 외국인직접투자는 정의 관계를 가지며 산업별로는 식품, 섬유직물, 운송업의 계수값이 정으로 추정되어 시장규모 확대는 외국인 직접투자 증가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임금 계수값은 -3.89로 추정되어 임금수준이 높아질수록 생산비용이 높아져 임금은 외국인 직접투자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한다. 수출은 계수값이 2.76으로 추정되어 외국기업의 국내직접투자의 중요한 원인이 우리나라 산업의 비교우위 원천 획득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업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수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 전기전자산업의 계수값은 21.4로 추정된 반면 섬유직물산업 등 수출경쟁력이 악화되는 산업은 부(-)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광고요인은 광고집약도가 높아질수록 외국인 투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광고가 증가 할수록 제품차별화와 인지도 측면에서 국내기업의 기득권이 높아지기 때문에 광고가 활성화 된 산업에서는 광고가 외국인들의 직접투자에 진입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개발 계수값이 3.53으로 추정된 것은 기술파급효과로 산업전반의 시너지효과가 충분하기 때문에 연구개발이 높은 산업에 외국인투자가 집중되며 영업이익율은 통계적 유의성이 낮지만 추정된 계수의 부호가 이론과 일치하는 정으로 추정되어 영업이익률이 높을수록 외국인 투자가 많이 이루어졌다. 외국인 직접투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서 거시계량모형을 설정하여 추정한 결과 외국인투자 10%p 증가는 충북 GRDP성장률을 향후 5년동안 연평균 0.05%p 만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충북전체 취업자수를 1차년도 0.01%에서 5차년도 0.07%까지 꾸준히 증가시키게 되어 5년 평균 0.05%의 신규 고용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 직접투자의 10%p추가 유치는 향후 5년간 충북 GRDP 25조의 0.05%인 1,250억씩 매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충북고용인구 43만9천명의 0.01%인 439명이 1차 년도에 신규고용이 유발되며 5차 년도에는 3,073명의 신규고용이 창출 되고 5년간 연평균 2,195명씩 신규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자세한 목차는 업데이트 예정 다운로드 산업별환율의 수출전가도 추정 관련키워드 산업별환율수출전가도추정 연구진 : 조택희 발행일 : 2009. 12 조회수 : 6,761 목차 Ⅰ. 서론 Ⅱ. 전가도의 결정요인고찰 Ⅲ. 실증분석 모형의 설정및 자료의 성격 Ⅳ. 전가효과의 실증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다운로드 충청북도 지방재정 지출 결정요인분석 관련키워드 충청북도지방재정지출결정요인분석">class="sch_word">결정요인분석 연구진 : 김덕준 발행일 : 2010. 12 조회수 : 8,380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다운로드 [2020-20] 청년 NEET 결정요인 분석 관련키워드 [2020-20]청년NEET결정요인">class="sch_word">결정요인분석 연구진 : 최은희 발행일 : 2020.12 조회수 : 2,336 목차 다운로드 [2022-21] 충북 특허의 경제적 가치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련키워드 [2022-21]충북특허경제적가치결정요인">class="sch_word">결정요인관한연구 연구진 : 양서우 발행일 : 2022.12. 조회수 : 3,132 목차 제Ⅰ장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내용 및 방법 ·····················································································3제Ⅱ장 특허 경제적 가치 이론적 배경 및 문헌 고찰 ··························51. 특허 경제적 가치 이론적 배경 ··································································52. 특허 경제적 가치 결정요인 선행 연구 ······················································8제Ⅲ장 국내 특허료 체계 특징 ························································91. 국내 특허료 체계 ·······················································································92. 국내 특허료 감면 제도 ············································································13제Ⅳ장 국내외 지식재산권 일반 현황 ··············································141. 해외 지식재산권 현황 ··············································································142. 국내 지식재산권 현황 ··············································································193. 충북 지식재산권 현황 ··············································································23제Ⅴ장 충북 특허 경제적 가치 결정요인 분석 ··································261. 연구 자료 및 모형 ···················································································262. 추정 결과 ··································································································34제Ⅵ장 결론 및 시사점 ·································································401.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0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43부록 ··························································································45참고문헌 ····················································································53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