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박스 전체안전충북포커스재난안전브리프재난안전정책연구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재난선제대응Signal CRI연구원들이 각 분야의 전문보고서를 제공합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164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게시물 목록 재난안전정책 Brief (제24호) 관련키워드 재난안전정책Brief제24호 연구진 : Vol.24 발행일 : 2018.04 조회수 : 2,984 요약 이슈 Brief 충북 미세먼지 발생과 건강 정책 Brief 01 중앙행정기관 정책동향 1) 자연재난 분야 · 어린이 재난안전훈련, 대상 넓히고 방법 다양하게 · 상습가뭄지구에 재해예방사업비 지원 · 효과적인 재해예방 위한 실무지침서 배부 · 재난 트라우마, 이제 국가가 관리한다 · 재해예방대책 소홀한 사업장 공사 중지 시킨다 2) 사회재난 분야 · 자전거 음주운전, 단속·처벌대상입니다 ·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방역대책 특별교부세 긴급 추가 지원 · 산불예방 특별교부세 긴급 지원 ·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책 발표 · 긴급차량 통행시간 45%대 단축, 우선신호시스템 확대 도입 · 드론 등 첨단장비 활용하여 미세먼지 배출원 관리 · 정부-지자체, 원전재난정보 실시간 공유로 신속대응 3) 생활안전 분야 · 안전문화활동 위해 민·관이 함께 나선다 · 4월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 선정 ·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 경사진 곳에서 주·정차 안전조치 의무화 · 보드게임·가상현실 통한 ‘연령별 맞춤형 교통안전교육’ 실시 02 지자체 정책동향 1) 충청북도 정책동향 · 충북도교육청, 감염병 선제적 예방에 앞장선다 · 단양군, 전 군민 안전보험 가입 추진 · 영동소방서, 봄철 산악사고 안전대책 추진 · 영동군, 재난취약계층 안전관리 강화 2) 타 지자체 정책동향 · 경남도, ‘3단계 안전점검시스템’으로 도민안전 지킨다 · 광진구, 공사장 안전사고 및 재난 시 피해확산 방지 · 정류장에 ‘미세먼지 대피소’ 설치, 강원도 그린존 운영 03 재난안전기술 R&D 동향 · 초미세먼지, 재활용 가능한 나노세라믹 필터로 잡는다 · ‘사람 살리는 LED조명’, 재난안전 시장 개척 다운로드 재난안전정책 Brief (제23호) 관련키워드 재난안전정책Brief제23호 연구진 : Vol.23 발행일 : 2018.03 조회수 : 2,856 요약 01 중앙행정기관 정책동향 1) 자연재난 분야 독립적 재난조사기구 설립 추진 재난안전사고 조사에 민간전문가 대폭 참여 대설·강풍 등 피해대비 비상근무 돌입 2) 사회재난 분야 중소형 경유차 매연기준 2배 강화하여 미세먼지 잡는다 화재 등 사고가 많은 곳에 더 많은 소방관 배치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장착 비용 50% 지원 3~4월 대형산불 막자, 산림청 특별대책 추진 올해 도로관리 화두는 ‘안전’ 소방용품 품질관리 대폭 강화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개정 시행 3) 생활안전 분야 3월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 선정 아파트 단지 내 도로 안전성 무료점검 받으세요 공공목적 긴급 상황에 드론 띄운다 승강기 안전기준 강화한다 02 지자체 정책동향 1) 충청북도 정책동향 충북도, 여름 자연재난 사전대비 돌입 청주시, 재난 예·경보 시설 확대 설치 영동군, 충북 최초로 ‘군민안전보험 가입’ 추진 괴산군, AI확산 방지 방역대책 추진 2) 타 지자체 정책동향 용인시, 화재·범죄·재난 대응 통합플랫폼 구축 광주시,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방안 추진 서울시, ‘자전거 우선도로’ 눈에 잘 띄는 색 칠한다 거창소방서, 봄철 화재예방 안전대책 추진 대전, 봄철 시민안전대책 추진 부산교육청, 전국 최초 재난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스마트 재난정보 공유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03 재난안전기술 R&D 동향 IT 접목한 ‘재난안전 재킷’ 선보여 ‘회전교차로 감응식 신호미터링’ 개발 다운로드 재난안전정책 Brief (제22호) 관련키워드 재난안전정책Brief제22호 연구진 : Vol.22 발행일 : 2018.02 조회수 : 3,000 요약 이슈 Brief ‘17년 충북 시·군별 지역안전지수 현황 정책 Brief 01 중앙행정기관 정책동향 1) 자연재난 분야 ● 국민 중심의 기상·지진서비스 실현 ● 포항 지진 때 사용된 이재민 구호용 텐트 전국적으로 확대 ● 소방청, 지자체별 재난대비 ‘긴급대응기관’ 운영 ● 재난안전제품 인증제도 시행한다 2) 사회재난 분야 ● 환경부, 전국 지자체와 함께 미세먼지 대응 강화 ● 약 85,000여 개 교육시설 대상 ‘18년 국가안전대진단 실시 ● 부처협력으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대응 강화 ● 소방시설 설치기준 인명 안전 중심으로 전면 개편 ● 중앙-지자체 합동 감염예방 및 위생관리 집중 점검·시행 ● 의료기관 화재안전대책 TF 구성·운영 ●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 여성폭력에 대한 국가의 보호·책임 강화 3) 생활안전 분야 ● 2월 중점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 선정 ● 내 주변 안전, 확인하기 더욱 쉬워진다 ● 위험요소 안전신고한 학생 봉사시간 인정 02 지자체 정책동향 1) 충청북도 정책동향 ● 진천군민 안전지킨다, 종합대책 추진 ● 충주시, 내년까지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 제천 화재 피해 유가족 보듬는다 ● 괴산군, ‘18년 해빙기 안전관리대책 추진 2) 타 지자체 정책동향 ● 부산시 교통안전대책 발표 ● 서천군, 재난안전취약가구 안전사고 사전에 막는다 ● 평택시, 「사회재난 구호·복구 지원 조례」 추진 ● 경남도교육청, 지진재난 대비 종합안전대책 강화 ● 안성시, 어린이놀이시설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구축 03 ‘18년 중앙부처 업무보고(재난안전 분야) 다운로드 [2017-07] 충북의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정보통합체계 구축 방안 관련키워드 201707충북재난안전관리정보통합체계구축방안 연구진 : 정경석,김보은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3,185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빅데이터 기반의 재난안전 관리 구현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 Ⅳ. 공간 빅데이터 활용 사례를 통한 개선 과제 도출 Ⅴ. 충북의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정보통합체계 구축 방안 다운로드 [2017-06] 충북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개선방안 연구 관련키워드 201706충북범죄분야지역안전지수개선방안연구 연구진 : 김영식,최낙범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2,981 목차 Ⅰ. 서론 Ⅱ. 충북지역 지역안전지수(범죄분야) 실태 분석 Ⅲ. 타 지역 및 외국의 지역안전지수(범죄분야) 우수사례 분석 Ⅳ. 지역안전지수 개선을 위한 충북 지역별 추진전략 및 추진계획 다운로드 [2017-05] 충북 재난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관련키워드 201705충북재난교육개발기초연구 연구진 : 이현정,문소희,오후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2,758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충북 도민의 재난교육 요구도 Ⅳ. 충북지역 재난교육 개발 방향성 제안 다운로드 [2017-04] 충청북도 복합재난 대응방안 연구 관련키워드 201704충청북도복합재난대응방안연구 연구진 : 이승수,황규관,손현아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2,720 목차 Part Ⅰ 연구개요 Part Ⅱ 충청북도 복합재난 분석 및 대응 전략 Part Ⅲ 충청북도 사면재해위험지역 시뮬레이션 및 대응방안 제시 다운로드 [2017-03] 폭염피해 저감을 위한 도시고온지역 진단 및 대응방안 관련키워드 201703폭염피해저감도시고온지역진단대응방안 연구진 : 조진희,이채연,오후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3,119 목차 Ⅰ. 연구 개요 Ⅱ. 지구 온도상승과 충북 폭염발생 현황 Ⅲ. 폭염 피해현황과 국내·외 대응체계 Ⅳ. 미시적 공간의 열환경 분석을 통한 폭염 취약지역 진단 Ⅴ. 도시폭염 대응정책 개선방안 다운로드 [2017-02] 충북 심정지 사망자 감축을 위한 응급대응 개선방안 관련키워드 201702충북심정지사망자감축응급대응개선방안 연구진 : 조진희,김보은,오후 발행일 : 2017.11 조회수 : 3,167 목차 Ⅰ. 심정지 요인 및 인식도 Ⅱ. 심정지 환자 발생현황과 국내·외 심정지 대응사례 Ⅲ. 충북 심정지 환자 발생특성 및 취약도 분석 Ⅳ. 충북 심정지 사망자 저감을 위한 정책과제 다운로드 [2017-01] 충청북도 물놀이 안전사고 저감방안 연구 관련키워드 201701충청북도물놀이안전사고저감방안연구 연구진 : 조진희,김보은,오후 발행일 : 2017.7 조회수 : 2,887 목차 Ⅰ. 서 론 Ⅱ. 물놀이 안전사고 개념과 동향 Ⅲ. 충북의 물놀이 안전사고 여건 및 현황 분석 Ⅳ. 충북 물놀이사고 저감대책 추진현황 Ⅴ. 충북의 물놀이 안전사고 저감방안 다운로드 처음 페이지 이전 10 페이지 이전 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