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지역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0개
- 게시물 46개
- 1/5 페이지 열람 중
기본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Ⅰ. 서론 Ⅱ. 대청호 현황 분석 Ⅲ. 댐 주변지역 친환경발전 사례 조사 Ⅳ. 대청호 친환경발전 기본방향 설정 Ⅴ. 대청호 친환경발전을 위한 물 환경제도 개선방안
2016-02-18 17:40:40 -
한강수계관리기금 산정방식 개선 및 하천수질 연계방안 :주민지원사업비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Method of a Fund and Water Quality: The Case of the Fund for Assisting Upstream Residents in the Han River Basin) 새창
이 연구는 한강수계 팔당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하여 하류지역인 서울, 인천, 경기도 일부지역이 상류지역인 강원, 충북, 경기도 일부지역에 지원하는 수계관리기금의 재정분석 및 하천수질과의 연계를 통하여 자치단체별 배분방식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주민지원사업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 결과, 그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은 1999년 8월부터 부과ㆍ징수되어 2000년부터 상류지역에 투자되고 있는 수계관리기금의 주된 재원으로서 본고에서는 재정분석을 위하여 2000~2005년간의 기간을 이용하였고 수질…
2009-04-29 00:00:00 -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사업 중의 하나가 기업도시 건설이다. 그 동안 정부는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기업도시 관련 특별법 제정, 시범도시 선정,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등을 수행하여 왔다. 정부는 2005년 7월, 충주 이류면 지역일대를 지식기반형 기업도시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지구지정 및 개발계획 승인이 2007년 상반기까지 이루어질 전망이다. 213만평 부지에 32,000명을 수용하는 충주 기업도시는 IT, BT, 자동차부품소재산업을 기반으로 한 생산시설ㆍ연구시설ㆍ교육시설 등이 결합하는 복합도시…
2009-02-26 00:00:00
도정기획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Ⅰ. 연구 개요 Ⅱ.. 대청호 주요 현황 Ⅲ. 대청호 주변 규제현황 Ⅳ. 대청호 주변 개발계획의 수용가능성 분석 Ⅴ. 대청호 환경 친화적 발전방안 Ⅵ. 충북의 추진전략
2015-03-24 15:45:11 -
1. 충북지역 기업 생멸실태 분석 및 정책개선 방안 / 함창모 연구위원 | 연구기획실 2.안전 충북실현을 위한 안전도 개선 전략 / 배민기 연구위원 | 연구기획실 3. 충북 산업구조분석과 최적 지역고용정책 / 김진덕 수석연구위원 | 창조산업연구부 4. 충북의 공적개발원조(ODA) 여건분석 및 방향성 정립 / 윤영한 연구위원 | 창조산업연구부 5. 충북 투자유치 기업의 생산활동에 따른 파급효과/ 설영훈 연구위원 | 창조산업연구부 6. 농촌 노후주택 열성능 개선을 위한 공공지원 방안 / 변혜선 연구위원 | 지역발전연구부 7. 도시재생 …
2015-01-14 09:43:32
정책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2016-01-27 11:20:06
-
2015-06-03 17:56:15
-
2015-06-03 17:43:35
-
요약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책기조 아래 녹색교통의 필요성 및 당위성이 확산되는 분위기이며,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보행, 자전거 등 녹색교통에 동참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충북도의 청사 주차장 부족에 따른 주차문제 완화, 주변 주택가 노상주차에 따른 민원 해소, 충북도의 녹색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직원 개인 자가용 수요를 감축하고, 대중교통, 보행․자전거 등 녹색교통수단을 활성화시킬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청직원들의 출퇴근거리 분포를 조사한 결과, 보행…
2010-06-04 00:00:00 -
[요약] 이 연구는 브랜드로서 충청북도가 타시도에 비해 낮다는 점에서 시작한다. 즉 지역 인지도 현황 및 지역세 등을 극복할 이미지제고방안 및 체계적 추진 방향등을 모색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선 충북이 국내 및 세계에서 사랑받고 인지도를 높일, 이미지 제고비전은 무엇이며 또 현재의 ‘충청북도’ 브랜드에 대한 체계적, 장기적, 누적적 조사의 필요성은 없는가 등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물론 지역의 이미지 제고는 지역정체성 확보 및 지역자긍심 고취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변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느…
2009-06-19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