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출범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21개
  • 게시물 210개
  • 1/21 페이지 열람 중

도정기획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Ⅰ. 서론 Ⅱ. 소도읍 개발관련 정책 Ⅲ. 읍?면단위 재생사례분석 Ⅳ. 청원군 읍?면별 쇠퇴수준분석 Ⅴ. 청원군 쇠퇴지역 발전방향(문의면) Ⅵ. 결론 및 정책제언

    2014-09-17 11:34:44
  • Ⅰ. 농촌 노인가구 대응형 주거환경 개선 및 공공지원 확대 방안 / 변혜선 연구위원 Ⅱ. 인구감소시대의 도래와 농촌중심지 기능 제고방안 / 원광희 수석연구위원 Ⅲ. 수도권 기업의 충북 이전 실태 분석 / 채성주 연구위원 Ⅳ. 환경시설 입지 갈등의 완화방안 / 배명순 전문연구위원 Ⅴ. 청주권 철도이용환경 개선방안 / 오상진 연구위원 Ⅵ. 산업단지 투자활성화 대책에 근거한 충북 산업단지 정책방향 / 홍성호 연구위원 Ⅶ. 통합청주시 출범에 따른 도시재생차원의 소도읍 정비방향 / 이경기 수석연구위원 Ⅷ. 도민체감 생활정보화사업 추진방향…

    2014-08-12 14:07:35

정책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15-06-03 18:03:01
  • 2015-06-03 17:54:29
  • 2015-06-03 17:48:06
  • [요약] 충북은 2007년 1월 ‘충북 Agenda 2010’ 수립을 통한 민선 4기의 도정운영에 대한 목표 설정 후 기업투자유치에 집중한 결과 당초 목표를 초과 달성하여 2008년 2월 이전의 목표를 수정·보완한 ‘충북 Agenda 2010+’를 발표하였다. 민선4기 출범 이후 목표 재설정 이후 경제특별도 건설을 위한 도정운영으로 충북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에 ‘충북 Agenda 2010+’를 통해 수립한 목표에 대한 달성도를 분석하였다. ‘Agenda 2010+’를 통해 2010년까지 제시한 목표에 대한 민선4기 2…

    2009-03-12 00:00:00
  • [연구개요] 지속가능발전기본법 제정내용(2008.2월 시행), 국가지속가능발전지표 확정( 2006.10), MB정부의 새로운 개발패러다임으로서 녹색성장정책 추진등에 대한 내용을 파악한 토대에서 이에 대한 충청북도의 업무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내용 요약] 지속가능발전 관련 충북도가 추진하여야 할 업무 로드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1단계 (지속가능발전 업무를 추진할 소관부서 지정) - 정부는 정책기획관실에서 총괄토록 요청(2008. 1.8)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법 제 8조에 따른 지속가능발전책임관을 지정하…

    2009-03-06 00:00:00
  • [연구개요] 지난 2003년 4월 18일 참여정부 출범이후 첫 대통령 공약시행으로 이루어진 청남대의 반환은 당시 충북도민을 비롯한 전 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가운데 진행되었다. 과거 권위주의 정권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대통령 별장’이 국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 것은 그 상징성이나 신비성이 국민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많은 관심을 갖게 하였다. 이를 증명하듯 개방 이듬해인 2004년 10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하면서 국민의 관심과 더불어 충북의 새로운 관광명소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청남대는 이후 ‘대통령 별장’에 대한 신비성이 감소하…

    2009-03-06 00:00:00

수탁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본 연구과제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함에 따라 지역 주도의 균형발전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시·도 발전계획(2023-2027년)을 수립하고 대내외 여건 분석에 따른 신정부의 지역정책 방향 전환 및 새로운 정책 비전에 부합하는 지역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2023-12-31 15:57:46
  • 본 연구과제에서는 정부 일자리정책에 대응하고, 4차 산업혁명, 디지털전환, 탄소중립 등 고용노동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도 맞춤형 일자리 비전 및 목표를 설정하고 민선8기 출범에 따른 충청북도의 지역 특성과 정책적 의지를 반영한 일자리 전략 수립하였다. 또한 글로벌 메가트랜드 및 불확실성 확대 등 고용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충북의 노동시장 전략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023-12-31 15:55:51